카테고리들..407 PARKER Quink 만년필도 생겼으니 잉크를 새로 사야겠죠. 원래부터 애용하고 있던 파카 Quink를 구입했습니다. 로고변경된 신형 잉크케이스는 이전에 비해서 상당히 달라졌네요. 일단 은색에서 금색쪽으로 색이 변하였습니다. 음음… Quink의 글씨체도 달라졌고요. 큉크의 용량은 약57ml 입니다. 파카는 Newell Rubbermaid 산하 회사입니다. 언제 산하회사로 들어갔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밑에는 재활용마크, 분리수거마크, 쓰레기통에 버리셈 마크가 적혀있습니다. 큉크의 잉크병은 단순한 병잉크디자인이라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원래 있던 녀석과 함께 왼쪽이 신형, 오른쪽이 구형. 차이는 로고외엔 없습니다. 잉크캡도 신형로고로 바뀌었습니다. 아앗 캡을 자세히보면 카메라 렌즈가 보이네요 …. 속건성, 좋은잉크흐름, 적절한가.. 2011. 2. 1. ZEBRA Surari 제브라의 에멀전 잉크 사용제품인 스라리입니다. 전에 제브라에서 짐니스틱이란 제품을 한번 만들었었는데 이번 스라리는 에멀전잉크를 사용하여 기존의 제트스트림, FX ZETA등의 볼펜과 차별화를 두었습니다. Emulsion 이란 유화액이란 뜻입니다. 에멀전 잉크는 유중수적형으로 제작되는 잉크입니다. 펜의 외관은 상당히 스탠다드한 느낌을 줍니다. 선단 – 그립 – 바디 – 클립 – 노크버튼의 기본적인 노크형볼펜의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클립은 플라스틱 클립을 사용하였습니다. 제브라의 제품들이 대부분 그렇듯, 스라리 볼펜에도 재생수지가 사용되어 있습니다. 재생수지의 사용량은 일본환경마크에 적혀져있습니다. (클립에 보이는 e 자형 로고) 플라스틱 클립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클립을 벌이다가 부러지는 일이 생길수도 있.. 2011. 2. 1. 연필심의 경도 연필심의 경도의 명칭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반적으로 연필에 사용되는 심의 경도는 9H~9B까지 사용되며, 9B~B는 미술용, HB~9H는 제도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HB쪽은 좀 애매모호하네요.) 연필심의 경도는 연필심 제작시 흑연과 점토를 섞는 비율에 따라 달라지며, 흑연이 많이 들어갈수록 B쪽으로 가고, 점토가 많이 들어갈수록 H쪽으로 갑니다. H = Hard B = Black HB = Hard Black F = Firm 숫자로 표기할시 1 = 2B 2= B 2 ½= HB 3= H 4= 2H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1. 1. 31. Pentel Crystal Correction Tape. 팬텔 크리스탈 수정 테이프입니다. 크리스탈이라는 이름에 맞게 외관이 아름답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제조국은 대한민국. OEM제조네요. 캡을 열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수정테이프 사용시 부드럽게 테이핑되네요. 수정테이프를 다 사용하시고 나면 사이드에 보이는 PUSH버튼을 눌러서 리필을 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분해를 한뒤 리필을 해줍니다. Copyright 2011 랄라라. 2011. 1. 31. 스테들러 2011년 신학기 이벤트 스테들러 코리아 홈페이지들어가면 자동 팝업창이 뜹니다. 2월7일부터 스타트니 많이 참가하시길 2011. 1. 27. 파버카스텔 연필, 색연필의 SV란 무엇인가 파버카스텔의 연필, 색연필을 보면 위의 사진과 같이 SV란 글자를 보셨을겁니다. 대부분 이 SV의 의미가 무엇인지 모르시는데, 이 SV가 붙어있다는 것은 SV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 연필이란 뜻입니다. SV공법은 파버카스텔에서 개발하여 파버카스텔의 연필에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SV공법이란 연필제조과정에서 연필심 전면에 본딩을 하여 나무와 연필심이 완벽하게 접착되도록하여 일반 연필들에서 보이던 연필심이 나무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의 연필들도 기본적인 본딩을 하지만, SV 공법과 같이 연필심의 전면에 본딩을 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싸구려 연필들은 이 본딩조차 제대로 되있지 않아서 종종 깎다보면 연필심이 가출을 했었는데, 파버카스텔의 SV공법은 전면본딩을 하여 이러한일.. 2011. 1. 2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68 다음